수면무호흡증, 다이어트부터 시작하자

 

 

외모를 중요시 여기고 자기관리에 신경을 많이 쓰는 시대, 모든 연령층들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그 중에서 많이 하는 것으로는 다이어트가 있습니다.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은 자기관리가 되고 있다는 것으로 보여지거든요. 그런데 다이어트를 통해 체중이 감량되면 외모가 좋아지는 것 만이 아니라 숙면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특히 수면무호흡증에 좋은 영향을 주고 있다고 합니다.

 

 

 

 

자면서 코골기도 하고 이상한 행동을 보여주기도 하고 꿈을 너무 많이 꾸는 등의 과정이 자다가 이루어지면 잠을 깨도 개운하지 않고 피곤합니다.

 

그런데 여러 질환들 중에도 수면무호흡증은 특히 위험하고 수면의 질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호흡활동이 방해를 받게 되면서 뇌가 자주 각성을 하게 되고 심할 경우 잠에서 깨어나기도 하거든요.

 

그래서 전날에 몸에 쌓여있던 피로들이 수면을 통해서도 완전히 해소되지 않아 주간졸음증을 호소하게 됩니다.

 

그런데 다이어트를 비롯한 체중관리를 하게 된다면 수면무호흡증 증상이 개선되면서 수면의 기능이 점점 살아날 수 있다고 합니다.

 

비만은 만병의 근원이라고까지 알려질 정도로 위험하기 때문에 무호흡증도 마찬가지일 거라고 보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이렇게 두루뭉실한 이유보다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자면서 호흡활동이 방해를 받는 이유는 숨을 쉬는 과정 어딘가에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비강이나 구강을 통해 들어오는 공기의 흐름이 방해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문제는 구강과 비강에서 모인 공기가 모여서 통과하는 기도의 좁아짐이 있습니다.

 

폐로 내려가는 주요 통로인 기도가 막히면서 호흡이 멎으면서 수면무호흡증이 발생하는 것이죠.

 

그런데 기도가 막히는 주요 원인들 중에는 주변 분포하고 있는 지방조직의 영향이 큽니다.

 

정상적인 체중을 유지하는 사람이라면 기도가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지만 체중이 늘어나 목에 살이 찌기 시작하면 기도근육에 지방층이 쌓여 기도의 공간이 작아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비만인구 중에는 코고는 사람도 많고 수면무호흡증 환자도 많은 거에요.

 

그리고 기도 바로 옆에 위치한 혀도 살이 찌게 되면 점점 두꺼워지면서 무호흡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이어트를 통한 지방의 감소는 전체적으로 기도를 넓힐 수 있어서 치료를 받는 환자분들에게 꾸준한 운동을 병행하시라고 말씀을 드리고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내용을 종합해보면 무호흡이 있는 사람들은 일단 운동을 통해 체중부터 줄이는 것부터 시작하면 되겠다고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체중감소가 도움이 되는 사람들이 많기는 합니다.

 

그러나 모든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이 과체중인 것은 아닙니다. 마른 체형이신 분들도 적지 않아요.

 

마른 체형이신 분들은 지방보다는 다른 원인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바로 다이어트를 시작하기보단 직접적인 나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도가 좁아진 원인으로는 지방도 있지만 음주와 흡연 혹은 입천장인 연구개나 혀 뿌리의 비대도 있으며 작은 하악과 근육의 탄력의 감소 등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이렇게나 원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수면무호흡증이 있다고 무턱대고 다이어트를 시도하는 것보단 검사를 통해 본인과 연관성이 있는 원인을 찾는 과정이 먼저 선행되어야 합니다.

 

 

 

 

먹는 것에 대한 걱정이 사라지고 맛있는 음식을 찾는 시대가 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점점 비만인구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비만으로 인한 수면장애를 겪고 있는 분들도 많아요. 그래서 다이어트가 정답이 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수면무호흡증을 겪고 있는 상황이라면 체중감량은 약간의 도움이 될 수는 있지만 근본적인 치료까지는 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보시고 여기에 다이어트를 곁들여 시너지 효과를 기대해보시길 바랍니다.

 

온라인 상담 (신청)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