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골이 무호흡, 발생하면?
- 코골이-수면무호흡증
- 2021. 6. 23. 14:55
우리들이 하는 행동의 대부분은 목적을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면서 실행으로 옮기곤 하죠.
그렇다면 잠을 자는 목적은? 피로에 쌓인 몸을 회복시키고 상쾌한 내일을 맞이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래서 평균 수면시간을 기준으로 보자면 1인당 8시간을 투자를 하는 것이죠.
하지만 코골이 무호흡을 자는 동안 보여주는 사람이라면 여러분들이 이루고자 하는 잠의 목적을 이룰 수 없습니다.
상쾌하기는커녕 피로에 물들은 얼굴로 하루를 시작하게 되며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해도 이루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코골이 무호흡 있으면 수면의 질 하락
평균 이상의 잠을 청하고 일어나도 목적을 이루지 못하고 피로가 담긴 얼굴로 일어나지는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수면의 질이 하락했기 때문입니다.
본래 평균 수면시간으로 정해진 8시간은 푹 자는 것을 기준으로 정해진 거라고 해요.
그런데 자는 동안 코를 골고 호흡에 문제가 있으면 푹 자는 것은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인간의 생존본능을 건드리기 때문이죠.
가장 기본적인 생존을 위한 활동인 호흡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호흡은 코와 입으로 공기를 마시고 기도를 통과하여 폐와 심장을 통과하고 온 몸으로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내보내는 활동입니다.
하지만 코를 골고 호흡에 문제가 있으면 중간 과정인 기도 부분이 좁아져 있는 바람에 호흡장애가 발생하게 되고 살기 위해서 뇌가 휴식에서 각성상태로 바뀌게 됩니다.
그래서 좁아진 기도를 열기 위한 방법으로 몸을 뒤척이거나 부족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여러 명령을 내리게 되고 그로 인해 몸은 휴식을 취하지 못하여 수면의 질이 하락하게 됩니다.
코골이 무호흡 심하면 잠에서 깨어난다
뇌가 휴식에서 각성으로 변한다고 해서 우리의 의식이 돌아오는 것은 아닙니다.
잠은 계속 자고 있어요. 다만 몸 안에서 여러 움직임들이 있을 뿐이죠. 그래서 수면에 집중할 수가 없어 피로가 풀리지 않게 되는데요.
그런데 수면무호흡증이 심한 사람은 잠에서 깨어나기도 합니다.
도저히 누워 있는 상태에서는 기도를 열 수 없을 거라고 뇌가 판단을 내렸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잠을 자는 도중은 근육이 휴식을 취하고 있어 기도 근육이 이완이 되어 있고 누워 있기 때문에 중력의 영향을 받고 있거든요.
그래서 두 영향을 없애지 않고는 코골이 무호흡에 대처하지 못할 것 같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뇌가 잠을 깨워버리는 것입니다.
수면이 부족한 것보다는 생존을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니까요.
그렇기 때문에 증상이 아주 심각한 사람은 수시로 잠에서 깨어나기 때문에 수면의 질이 하락한 것보다 더욱 심한 피로 증상을 느낄 수 있습니다.
코골이 무호흡 기도를 넓혀서 해결해보자
뇌가 각성을 하는 것도, 잠에서 깨어나는 것도 모두 좁아져 있거나 막힌 기도를 열기 위함이라고 알려드렸습니다.
기도의 공간을 확보하고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어 생존을 하기 위해서죠.
그래서 수면무호흡증이 생기지 않게 만들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원인이라고 보여지는 기도를 넓혀줘야 합니다.
숨을 쉬는데 문제가 없을 정도의 공간이 있다면 뇌가 휴식을 취하는 동안 깨어나는 일이 없어서 수면의 질이 하락하는 일은 생기지 않을 거에요.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보면 의료기구인 양압기를 착용하고 잠을 자는 것과 기도가 좁아진 원인을 찾아 직접 제거하는 기도확장술 등이 있습니다.
과거 코고는 원인에 대한 정보가 적었을 시절에는 기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었지만 연구를 통해서 코를 고는 것은 기도의 영향이 크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사용량이 많아진 방법들입니다.
코골이 무호흡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인 수면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대표적인 수면장애질환 중 하나에 속하고 있습니다.
무려 삶의 30%를 투자하고 있는 활동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죠.
수면이 부족했던 날을 떠올려보시면 그 날은 매우 무기력한 모습이었을 것입니다.
이제 그 원인을 제거해보시고 매일 상쾌한 날을 보내보시지 않으시겠습니까?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