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증 치료, 선택일까요 필수일까요?
- 코골이-수면무호흡증
- 2015. 7. 29. 12:25
수면무호흡증 치료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코골이 치료는 많이 들어봤어도 수면무호흡증 치료라고 하면 여전히 생소한데요.
이것저것 따지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홍시는 둘을 뭉뚱그려서 그냥 코골이 치료라고 불러요. ^^;;
하지만 정확하게 말하면 조금 다르거든요.
오늘은 오래간만에 둘을 구분지어 수면무호흡증 치료가 무엇인지 함께 알아보시죠.
수면무호흡증 치료는 자는 동안의 무호흡 증상을 치료하는 거에요.
코골이는 좁은 기도가 원인이 되어 소리가 나는 경우가 많아요.
간혹 비염이나 축농증, 코뼈가 휜 것처럼 코 안에서 문제로 인해 생기기도 하지만,
이런 경우는 생각보다 많지 않아요.
잠이 들면서 근육이 이완되어 좁은 기도가 더욱 좁아지며 나는 소리,
숨을 쉴 때마다 좁은 기도로 공기가 드나들며 진동시키는 소리, 그것이 코골이에요.
기도가 좁아지다 못해 잠깐씩 막히는 상황이 생기는데 그것은 바로 수면무호흡증이에요.
생각하고 계신 것처럼 코를 골다가 숨을 쉬지 않는 듯이 보이는 바로 그 상태!!!!
그 상태가 맞습니다.
이런 수면무호흡증은 치료가 꼭 필요하다고 이야기해요.
기도가 좁아지다 못해 막히면 산소 공급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이야기잖아요.
사람마다 차이는 있지만 몇 초에서 길게는 1, 2분씩 무호흡 증상을 보이고,
이것이 잠을 자는 내내 반복적으로 이뤄지며, 매일 밤 규칙적으로 일어난다면 어떨지.......
굳이 이야기하지 않아도 상상이 되실 거에요.
산소공급이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걸로 알려진 두뇌는 끊임없이 자극을 받습니다.
또 숨을 쉬기 위해 뇌의 일부분은 휴식을 취하지 못하고 활동하게 됩니다.
의식을 완전히 찾은 것은 아니지만 깨어난 이런 상태를 각성이 일어났다고 해요.
온 몸에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은 혈액이 담당하고 있는데요.
더 빨리, 급히 혈익이 움직여야 하니 심장과 혈관에 무리가 오는 것은 당연하겠죠.
수면무호흡증 치료가 필요하다고 하는 이유는 바로 이런 이유때문이에요.
뇌, 심장, 혈관에 영향을 미치거든요.
수면무호흡증 치료가 필요성은 수많은 연구결과로도 알 수 있어요.
위에서 이야기했던 뇌, 심장, 혈관에 미치는 영향은 추측이 아닌 실제 연구된 자료에서 나온 것들이에요.
고혈압이나 당뇨병이 수면무흡증으로 인한 대표 합병증인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구요.
심혈관계, 뇌혈관계, 비뇨기 관련 합병증까지 무호흡증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계속 진행되고 있어요.
수면무호흡증 자체로 사망에 이르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해요.
하지만 오랜 시간 방치하면 건강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거죠.
오랜 시간에 걸친 영향도 문제지만 무호흡이 가져다 주는 가장 큰 불편은 일상의 어려움이에요.
나는 의식하지 못하지만 실제로 몸은 휴식을 제대로 취하지 못하니 늘 피로감을 느끼게 되요.
주간졸림증은 물론, 집중력 저하, 무기력감, 예민함이나 짜증으로 일상에 영향을 주게 되는 거죠.
읽어보시니 어떠세요?
수면무호흡으로 죽지도 않는다는데 뭐...... 라고 생각하셔도,
어서 빨리 수면무호흡증 치료를 받아야겠다........ 라고 결정하시는 것도,
모두 본인 선택입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