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증, 나도 모르던 증상




환자 본인은 모르지만 자는 도중에 숨을 멈추는 병이 있습니다.


어떻게 본인이 모를까 싶지만 실제로 많은 분들이 이 증상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조용한 살인마, 수면 중 무호흡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면무호흡증, 자다가 숨을 멈춘다


숨을 참으면 얼마나 오래 버틸 수 있을까요?


일부러 참아보려고 해도 일반적으로 1분을 버티지 못하고 숨을 들이쉬게 됩니다.


그런데 잠에 든 상태에서는 호흡이 불편하더라도 크게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면 중 무호흡은 공기가 코에서 폐까지 이동하기 위해 거치는 일종의 통로인 기도가 좁아져서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잠을 자는 상황에서 지나치게 기도가 좁아져서 공기가 적은 양만 통과하거나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수면무호흡은 아예 숨을 멈추는 것이 아니라 자면서 얕은 호흡을 지속하거나, 일시적으로 약 1~100초간 숨을 멈추었다가 다시 호흡하는 것을 반복합니다.





산소공급이 원활하지 못하면 저산소증으로 위험한 상태가 됩니다.


그래서 뇌는 호흡하기 위해서 얕은 잠을 자게 됩니다.


깊은 잠을 자면서 휴식을 취해야 하는 뇌가 제대로 휴식하지 못하고, 신체에 산소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으므로 방치하면 다양한 성인병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되도록 빨리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은데요.


이러한 증상이 있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증상이 있다면 수면무호흡증을 의심해보자


가장 대표적인 증세는 바로 코를 고는 것입니다.


코고는 소리가 발생하는 원인과 수면무호흡이 발생하는 원인이 동일하기 때문이죠.


심하게 코를 고는 사람들에게는 자다가 숨을 멈추는 모습이 관찰되고는 합니다.


코를 골다가 갑자기 소리가 뚝 그치면서 호흡도 멈추고, 다시 급하게 숨을 몰아 쉬며 코고는 소리를 낸다면 치료가 시급합니다.


코고는 소리가 작거나, 소리를 내지 않아도 자면서 호흡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그 외의 증상들도 알아두면 좋은데요.





미국수면학회(NSF)가 제시하는 수면권장시간(성인 7~9시간)을 자고 일어나는데도 만성적으로 피곤하고 졸음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입을 벌리고 자거나, 옆으로 누워야 편하고 잠이 오는 것도 수면 중 호흡장애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자면서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기 때문에 본능적으로 좀 더 호흡하기 위하여 구강호흡을 하기도 합니다.


침을 흘리며 잔다거나 자고 일어난 후에는 목이 건조하고 칼칼하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은 분, 입술이 항상 건조한 분들은 무호흡증으로 인한 구강호흡을 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똑바로 누운 자세로는 잠에 들기 어렵고, 옆으로 누운 자세로 자야 편한 것도 수면 중에 발생하는 호흡장애와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천장을 보고 바로 누운 자세는 기도가 좁아져서 발생하는 무호흡증을 유발하기 쉬운 자세이기 때문입니다.


누운 자세는 혀가 중력에 의하여 뒤로 처지면서 기도가 좁아지게 만듭니다.


이러한 증상이 심각해지면 숨이 막혀서 자다가 깨어나거나, 앉아서 자는 자세를 취하게 됩니다.


약물로는 혈압이 잘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이 있거나 아침에 일어나면 두통을 겪는 것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수면무호흡증을 치료하는 방법


수면 중 호흡질환은 기도가 좁아져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자면서 좁아지는 기도를 넓게 만들어주는 방법을 사용하게 됩니다.


의료기기를 이용하여 자는 중에 기도가 좁아지지 않도록 막아주는 양압기치료와 기도가 좁아지는 요소를 제거해서 근본적으로 기도의 넓이를 넓게 만드는 외과치료가 있습니다.


각각의 치료방법은 장단점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환자에게 맞는 방법은 검사결과를 확인한 후 결정해야 합니다.


수면 중 무호흡 증상이 의심된다면 양압기와 외과치료가 모두 가능한 수면클릭닉을 방문해 보세요.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수면 중에 호흡을 몇 번이나 멈추었는지 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검사를 통해 수면무호흡증을 진단 받으신 후 치료를 시작하시기 바랍니다.




온라인 상담 (신청)


전화 상담 (예약)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