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증 치료 늦으면 뇌세포가 사망한다?
- 코골이-수면무호흡증
- 2018. 7. 12. 16:27
수면무호흡증 치료 늦으면 뇌세포가 사망한다?
단단한 두개골로 보호되고 있는 뇌
그 만큼 신체조직 중에서 갈비뼈로 보호되고 있는 심장과 함께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한 번 손상이 되면 회복이 어렵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수면 중 무호흡이 있는 사람이 수면무호흡증 치료를 받지 않고 방치하면 뇌세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무슨 문제가 발생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수면무호흡증 치료가 늦으면 뇌가 청소되지 않는다
음식을 먹으면 배변을 하고 산소를 소모하면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듯 모든 활동에는 그에 대한 결과물이 발생합니다.
세포라고 다르지 않습니다.
뇌는 체중의 2%밖에 되지 않지만 다양한 기능을 하기 때문에 에너지의 20%나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에 따라 발생하는 노폐물도 상당하죠.
그런데 수면무호흡증 치료가 늦어지면 발생한 노폐물이 제대로 청소가 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뇌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들은 수면을 취한 상태에서만 원래 크기에서 수축이 되면서 공간이 생기고 그로 인해 노폐물이 뇌척수액을 통해 배출되면서 청소가 되는데요.
수면 중 무호흡증이 발생하면 뇌가 수면 상태에서 깨어납니다. 그래서 세포가 다시 원상태로 돌아가버립니다.
그렇게 되면 노폐물은 청소가 되지 않아 계속해서 세포 내에 축적이 되고 결국 세포가 제 기능을 잃어버리게 되는 것입니다. 사망하는 것이죠.
그래서 세포가 제 기능을 잃기 전에 수면무호흡증 치료를 통해서 정상적으로 청소가 되도록 만들어줘야 합니다.
무호흡의 원인인 막힌 기도를 열어야 한다
수면 중에 호흡이 갑자기 멈추는 이유는 기도의 공간이 막혀버렸기 때문입니다.
호흡은 코와 입 둘 중 하나를 통해서 할 수 있지만 폐와 심장으로 갈 수 있는 통로는 기도 하나 뿐이기 때문에 기도가 막혀버리면 호흡이 멈추는 것입니다.
그래서 수면무호흡증 치료는 기도 공간을 확장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실제로 검사를 진행하면 대부분의 환자들의 기도가 상당히 좁아져 있습니다.
혀와 연구개를 중심으로 기도를 확장시키는 외과치료술인 기도확장술이나 의료기구인 양압기를 주로 활용하고 있으며 어떠한 치료방법이 좋은지는 여러 검사를 진행해야 알 수 있습니다.
환자의 수면무호흡증 치료가 하루하루 늦어질수록 뇌 손상이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검사결과를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의료진의 경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도를 좁아지게 만든 여러 요인들을 모두 확인하지 못해 일부의 요인을 남겨둔다면 해당 요인을 제대로 치료를 한다 하더라도 이후에 남아있는 원인에 의해 다시 증상이 재발될 수 있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수면무호흡증 치료 병원은 해당 병원의 경험과 의료진의 약력을 주의 깊게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무호흡증의 영향은 뇌에서 멈추지 않는다
에너지의 20%나 사용하기 때문에 해당 노폐물을 제때 청소해주지 않으면 뇌가 손상을 입는다고 말씀을 드렸는데요.
뇌의 수면을 방해하는 수면무호흡은 뇌의 청결을 방해함과 동시에 평소보다 적게 공급되는 에너지로 인해 뇌를 각성시키고 부족한 에너지를 채우기 위해 여러 장기들에게 명령을 내리기 시작합니다.
대표적인 장기는 바로 심장과 혈관입니다. 에너지 운반의 중책을 맡고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아무리 심장과 혈관이 노력을 해도 달라지는 것은 없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면무호흡증 치료를 통해 기도 공간을 확보하여 산소가 충분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입니다.
산소만 충분히 들어온다면 심장과 혈관이 알아서 뇌와 온 몸으로 퍼트려줄 테니까요.
수면무호흡증 치료가 늦어 뇌 청소가 지속적으로 되지 않으면 뇌의 여러 기능이 손실될 수 있으며 알츠하이머로 알려진 치매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치매는 한 번 발명하면 진행을 늦추는 방법 외에는 방법이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무호흡증이 있다면 더 지체하지 말고 수면무호흡증 치료 병원을 찾아가시길 바랍니다.
아직 확실한 치료법이 없다면 예방하는 게 최선의 방법이 되니까요.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