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중 무호흡증 치료가 늦으면, 숨은... 멈춘다


수면중 무호흡증 치료가 늦으면, 숨은... 멈춘다



안녕하세요~올들어 가장 추운 날, 홍시 인사드려요. 


며칠전 한국인의 수면시간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어요. 

서울대 의대 연구팀에 따르면 건강한 사람의 평소 수면시간이  7∼8시간보다 짧거나 길면 사망률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잠이 부족할 때 생기는 문제에 대해서 홍시가 여러번 강조했지만, 잠을 많이 자도 사망률이 높아진다는 다소 파격적인(?) 내용 때문에 놀란 분들이 많으시죠? 

건강한 생활을 위해서 규칙적인 취침과 기상은 필수임에도 불구하고 이런 단순한 생활습관이 쉽지 않은 분들이 있습니다. 

수면중 무호흡증과 같은 수면장애를 가진 분들이라면 제대로 잠자리에 든다고 해도 잠의 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일반인과 같은 제대로 된 잠을 누리기가 힘들어요. 

오늘은 수면중 무호흡증에 대해 얘기해볼게요.





혹시 나도 수면중 무호흡증일까?

요란하게 코를 곤다고 해서 모두 수면중 무호흡증은 아니에요. 

코골이와 수면중 무호흡증은 흔히 혼용되어 불리지만 서로 다른 질환이거든요. 엄밀히 말하자면 수면중 무호흡증의 대표 증세 중 하나가 코골이죠. 

<수면시 숨구멍이 작아 코골이와 수면중 무호흡증을 유발합니다>


코골이는 기도가 좁은 상태에서 호흡에 의해 연구개가 떨리는 현상으로 생기는 소리이고, 이 떨림이 심해 연구개 또는 혀 뒤쪽의 부위가 닫히면 수면중 무호흡증이 나타나요.

수면중 무호흡증과 더불어 기도가 좁아 호흡이 적절하게 이뤄지지 않는 수면저호흡증과 상기도저항증후군까지 수면호흡장애라고 통칭합니다.

주변에 심하게 코를 고는 사람이 있다면 한번 관찰해보세요. 아마도 코를 골다 갑자기 숨을 몇 초간 멈추는 현상을 반복할 거예요. 

그래서 자신도 모르게 자는동안 몇 번씩 깨고, 그러다보니 잠을 오래자도 잠 못잔 사람처럼 몸이 무겁고 자꾸 졸리죠.

혹시 본인 스스로도 수면중 무호흡증이 의심된다면 다음의 박스 안에 내용을 체크해보세요.

보통 배우자가 있다면 잠자는 모습을 지적해주겠지만 1인 세대가 많은 요즘같은 때는 스스로 진단하지 않으면 질환이 깊어지도록 병원 방문을 생각치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평소 잠을 자면 코를 고는지 숨이 멎는지 저는 알지못하지만

식구들과 주변에 지인들이 심하다는 소릴해서 코 고는 소리만 크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한 1-2년전부터 자면서 제 아내가 숨이 잠 자다가 자꾸 멈춘다고 하여 아는 분의 소개로 병원을 찾게 되었고


진료를 해 보니 다른 사람보다 심한 수면무호흡증으로 수술을 진행했으며 수술 후 경과를 3개월이 지난 현시점에서 보니 상당히 좋아졌다 합니다.


<코골이 증상으로 내원, 수면다원검사 후 수면중 무호흡증으로 진단. 수술후 76% 호전된 환자(남. 40대의 후기>



     수면무호흡증상을 체크해보세요~

  • 옆방에서도 들릴 정도로 코골이를 한다.

  • 코골이를 하다 잠깐씩 끊기거나 호흡을 멈췄다 다시 시작하는 일이 반복된다.

  • 숨이 차거나 숨이 막혀서 잠에서 깬다.

  • 작업 중이거나 운전 중일 때 쉽게 잠에 빠진다.

  • 집중이 안되고, 기억력이 떨어지면 짜증이 나거나 우울하다.

  • 오전에 머리가 아프거나 구역질이 나고, 밤중에 소변을 보러 화장실에 자주 간다.

  • 생리주기가 불규칙하거나 발기부전, 성욕 감퇴와 같은 증상이 있다.

 


수면무호흡증은 습관이 아니라 질환

 

수면중 무호흡증을 겪는 환자들은 낮동안 집중력이 떨어지고 피곤함을 만성적으로 느끼는 문제점을 갖고 있지만 무엇보다 위험한 것은 여러가지 질환의 단초가 될 수 있다는 거예요. 


어려서부터 코골이가 심해 저와 주변 사람들 모두 괴로워 합니다.

공공장소에서는 절대 잠을 못잤던 저입니다.


그렇게 35년을 지내 오던 중 어느날 부터 두통이 심하게 옵니다.

점점 심각함을 느끼고 인터넷으로 병원을 찾던 중에 숨수면센터를 만났어요.


병원을 찾아 일산으로 내원 수면검사를 받은 결과는 ㅜㅜ 수면무호흡...이랍니다. 흐아 --;

<코골이 증상으로 내원. 수면다원검사 후 수면중 무호흡증 진단을 받고 수술 한 번으로 정상화된 환자(남.30대)의 후기>



수면중 무호흡증이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질환을 야기한다는 연구 결과가 속속 발표되면서 그 심각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수면무호흡증을 겪고 있는 임산부라면 임신중독증이 나타나기도 하고요. 

수면중 무호흡증 증상이 있다면 얼른 치료받아 동반해서 나타날 수 있는 질환을 미리 예방하는게 좋습니다. 




병원을 선택할 때는 일반적인 이비인후과보다는 여러가지 사례와 다양한 치료법을 구사할 수 있는 전문 수면클리닉을 추천드려요. 

만성적인 질환의 치료는 여러가지 변수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전문 병원의 선택은 필수라는 점, 기억해주세요! 

이상 홍시였습니닷!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