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증 의심된다면 수면다원검사부터
- 코골이-수면무호흡증
- 2014. 10. 14. 12:03
안녕하세요, 홍시입니다.
지난 주에는 날씨가 완전~~ 좋아서 친구들 모두 모아 놀러갔었어요.
텐트치고, 고기 꿔먹고 술도 좀 마시고... ㅋㅋ
<이미지 출처: http://goo.gl/PFtB4X>
그렇게 기분좋게 놀다가 잠이 들었는데... 들었는데... 들었을까? 못들었죠.
친구 남편이 코를 너무 심하게 골아서 저와 제 친구는 잠을 못잤답니다. ㅠㅠ
코만 골면 그나마 괜찮게요? 분명히 자는 것 같은데 갑자기 숨을 쉬지 않는거죠.
그래서 언제까지 숨을 안 쉬나~~ 기다려봤더니 2분 가까이 숨을 안 쉬는 거예요.
<이미지출처: http://goo.gl/HLfG8k>
그러다가 커억~! 하고 숨을 내몰아쉬고... 제가 보기에는 수면무호흡증인것 같아서 어여어여 병원에 들르시라고 권했어요.
이렇게 수면무호흡증은 본인은 잘 몰라요.
주변에 관찰해 주는 사람이 있어야 알 수 있기 때문에 심각성을 더 못느끼는 경우가 많죠.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무엇인가요?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은 수면중에 상기도를 통한 공기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서 각성이 잦고, 혈중산소포화농도가 떨어지는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수면호흡장애입니다.
<이미지출처: http://goo.gl/DeItID>
이런 증상이 질병이라는 인식이 없었던 때에는 단순히 코골이를 동반하는 수면습관 중 하나로 알고 있었죠.
하지만,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성인에게 나타나면 뇌 심혈관계 질환, 고혈압, 당뇨 등 전신질환과 연관성이 있습니다.
만약 수면무호흡증이 소아에게서 보인다면, 악안면 골격이상, 행동 및 정서장애, 성장장애, 야뇨증 등과 같은 다양한 합병증과 관련될 수도 있고요.
이젠, 피곤해서 그런갑다~~ 하고 그냥 넘길 문제가 아니라는 거, 아셨죠?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수면장애는 불면증, 수면과다증 등...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해요.
<이미지출처: http://goo.gl/Azfg2Q>
의사의 진단없이 본인의 판단으로 약을 복용하는 것은 치료를 더욱 어렵게 할 수도 있고, 수면장애를 더욱 악화시켜서 뇌졸중이나 심근경색증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 발병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수면장애의 진단은 어떻게 하느냐?!
바로, 수면다원검사입니다.
수면다원검사는 수면 자체 뿐만 아니라 수면 중 여러 가지 중요한 신체기능을 검사합니다.
이 검사로 수면 중 호흡장애가 있는 지, 수면의 질은 어떤 지, 코골이는 하는 지, 혈중산소포화농도 및 각성의 정도는 어느 정도인지 등을 측정하고, 수면호흡장애가 어느정도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거죠.
잘 때 일어나는 모든 생리현상은 우리가 깨어있을 때와는 전혀 다르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이러한 수면다원검사의 결과가 정상 수면과 다양한 수면질환을 가지는 환자의 진단에 기본이 되는 여러 가지 정보를 제공하고 각 수면질환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게 되는됩니다.
그래야~ 진단결과에 따른 치료법을 선택할 수 있을테니까요.
더 큰 질환을 막기 위한 수면다원검사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어른에게는 흔하게 나타나는 수면호흡장애입니다.
소아에게도 비교적 흔하게 나타나기도 하고요.
이 질환이 치료가 필요한 이유는 수면호흡장애는 다양한 합병증과 연관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수면다원검사 결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의심이 된다면 적극적으로 진단해서 치료하셔야 합니다.
수면다원검사는 수면호흡장애의 중증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치료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검사라는 것, 잊지 마시고 수면무호흡증 의심된다면 수면다원검사부터 받아보세요.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