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코골이, 크면 괜찮다구요?


소아코골이, 크면 괜찮다구요?


아이가 코골이가 심한데, 아이가 큰다고 하는 기준은 언제까지일까요?


코골이에 대해 우리는 참 관대한 것 같아요.


워낙에 흔하게 볼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 수면의학이 보편화되지 않아서이기도 하다는 게 홍시의 개인적인 생각인데요.


소아코골이는 성인의 코골이와는 좀 다른 문제를 가지고 있거든요.


그래서 더 관심을 가져야 하는 - 소아코골이 얘기를 해보렵니다.





소아코골이도 성인코골이와 마찬가지로 코를 고는 소리보다 수면무호흡증이 위험합니다.


소아코골이의 20~30%가 수면무호흡증을 갖고 있다고 하니까 아이가 코를 곤다면 주의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코골이는 수면 중 좁아진 기도로 공기가 드나들면서 기도 주변의 구조물을 진동시켜서 나는 소리인데요.


성인의 경우 기도가 좁아지는 원인이 상당히 다양한 반면, 소아코골이의 경우는 편도나 아데노이드 비대로 인한 상기도 폐쇄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말할 수 있어요.


소아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약 70% 를 차지할 정도니 상당히 큰 숫자죠?


뿐만 아니라 코와 관련된 질환의 영향도 성인보다 훨씬 많이 받습니다.





아이들은 본인의 불편함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고 무호흡 타입이 적어 부모님의 각별한 관찰이 필요해요.


단순하게 밤에 잠을 잘 때만 코골이가 있는 것이 아니라 일상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는데요.


아래의 증상들이 나타난다면 치료를 고려해 보세요.




- 코골이가 있으며 입을 벌리고 잠을 잔다.


- 낮잠을 많이 자고 머리가 아프다는 말을 자주 한다.


- 똑바로 자지 못하고 옆으로 자거나 베개를 높이 쌓고 잔다.


- 몸부림을 치며 자고 잠버릇이 심하다.


- 잠을 잘 때 땀을 많이 흘린다.


- 짜증을 잘 내고 예민하며 친구들과도 자주 다툰다.


- 또래보다 체격이 작다.


- 평소 입을 벌리고 멍하게 있을 때가 많다.





위의 증상들은 수면무호흡증을 가진 소아코골이 환자들에게서 많이 보이는데요.


자는 동안 숨을 쉬는데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다보니 땀을 흘리고, 호흡을 위해 뇌와 신체의 일부가 깨어나게 되니 숙면을 취하지 못해 피곤함을 느끼게 됩니다.


소아코골이는 이런 피로감이 생활에 거의 그대로 반영이 되어 짜증이 많아지고 예민해지고 낮잠을 자게 되요.


저산소증으로 이어지면 인지능력이 감소하고, 섭식장애나 호르몬분비장애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다른 무엇보다 소아코골이에 더 큰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수면이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데요.


성장호르몬은 깊은 잠에 들었을 때 분비되기 때문에 숙면을 취하지 못하고 있다면 당연히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는 거죠.


또 수면 중에 뇌의 단기기억이 장기기억으로 전환되는데 잠을 제대로 잘 수 없다면 학습적인 부분에도 영향이 갈 수 밖에 없습니다.





성장기의 소아코골이 환자에게 나타나는 다른 특징은 얼굴형의 변화에요.


소아코골이가 있는 아이들의 경우 코로 숨을 쉬기 어려우니 자연스럽게 입으로 숨을 쉬게 되는데요.


소아코골이의 지속적인 구강호흡은 아래턱의 발달을 더디게, 위턱의 좌우를 좁게 만들어 앞니가 튀어나오는 얼굴형이 될 수 있어요.





수면무호흡증 진단은 소아코골이도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내려요.


성인의 경우 1시간동안 나타나는 수면무호흡 증상의 시간과 횟수를 통해 수면무호흡증 진단을 내리는데, 소아코골이는 좀 달라요.


무호흡시간이 호흡시간의 2배가 넘어가면 수면무모흡증으로 판단하는데요.


면밀한 관찰과 육안으로 확인하기는 어려우니 의심이 된다면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확인하세요.


소아코골이의 경우 부모와 함께 병원에서 잠을 자며 검사를 받고, 수면도중 주사바늘을 이용한 침습행위가 없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요. ^^





홍시가 성장기의 소아코골이가 크면 괜찮아지겠지 라고 넘기기엔 힘든 이유들을 말씀드렸는데요.


얘기하다보니 어마무시하단 느낌이 저 스스로도 들지만.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성장할 수 있으니 염려마세요.


혹시 소아코골이가 있는 아이때문에 걱정이시라면 먼저 상담 받아보세요.


방치해서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것도 문제지만, 가벼운 증상을 큰 병으로 오해하는 것도 문제니까요.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가장 먼저입니다. ^^




무료상담신청 (클릭)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