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증, 당뇨병과 밀접하다는 사실




성인병이라고 하면 어떤 질환이 먼저 떠오르세요?


역시 가장 만만한 것은 고혈압, 당뇨, 비만, 심근경색, 뇌졸중, 동맥경화 등이겠죠?


버스에서 7세 전후로 보이는 남자 아이가 위의 질환들을 늘어놓으며 보험광고를 따라하던 모습을 본 적이 있어요.


이제 텔레비전이 있는 집이라면 보험광고를 통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유명(?) 질환이 되어버렸습니다. ㅎㅎ


성인병은 특정 질환을 말하는 것은 아니에요.


음식을 짜게 먹거나 육식을 즐기는 식습관이나 음주, 흡연, 운동을 전혀 하지 않는 생활습관 등의 영향을 받는 질환들을 모아서 부르는 이름이에요.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어느날 하루 아침에 건강을 해치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을 통해 조금씩 건강을 갉아먹었다고 볼 수 있지요.


그런데 수면무호흡증이 당뇨병과 무슨 관계일까요?





수면 중의 무호흡은 오랜 시간을 통해 건강을 갉아먹는 녀석이거든요.


코골이와 동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치료해야 하는 질환으로 여겨지지도 않아 더욱 서글픈(?) 질환이구요.


당뇨처럼 직접 생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합병증을 야기시켜 건강을 해치는 질환이기도 합니다.


지금은 합병증으로 고혈압과 당뇨병이 많이 알려져 있지만, 인터넷에 그렇게 쓰여 있으니 그렇다고 여기는 것이지 당뇨가 수면과 관계 있다는 사실은 여전히 잘 모르세요.


당뇨는 잠들기 어렵거나 수면 지속시간이 짧은 사람에게 발병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하루에 5시간 이내로 자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당뇨에 걸릴 확률이 무려 3배나 높다고 합니다.


수면무호흡증까지 나가지 않아도 수면시간이 적은 것만으로도 건강에 적신호가 올 수 있어요.


그래서 무호흡증 치료를 위해 숨수면클리닉을 방문하시면 항상 당뇨가 있는지 꼭 확인을 한답니다.


간혹 무호흡증 치료하러 왔는데 왜 이런 걸 체크하냐고 물으시는 분이 계신데, 이런 이유때문이지요. ^^





우리가 흔히 코골이라고 통칭해서 부르는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에 잠깐씩 호흡이 멎는 거에요.


주로 좁은 기도가 원인이 되어서 생기는 증상인데요.


태어날 때부터 기도가 좁게 태어났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얼굴 골격이나 혀의 두께, 비만 등의 문제로 기도 공간을 확보하지 못해서 생기기도 해요.


잠을 자면 근육이 이완되고 기도주변 근육도 이완되면서 낮엔 아무 어려움 없이 이루어지던 호흡이 곤란을 겪어요.


좁아진 기도를 통해 산소가 드나들며 기도 주변을 진동시키며 나는 소리가 코골이, 기도가 막혀서 호흡이 멎으면 수면무호흡이 되는 겁니다.





호흡이 멎는 증상이 있다고 해서 모두가 무호흡증은 아니에요.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1시간에 얼만큼 무호흡 증상이 나타나는지를 평균을 낸 RDI 수치로 진단을 내리게 되는데요.


1시간에 5회 이상 호흡이 없을 (저호흡 지수도 포함되요) 경우 수면무호흡이라고 합니다.


RDI 수치 5-15회가 경증, 30 이상이면 중증이라고 진단해요.


설마하니 1시간에 30회 이상 호흡이 안되는 경우가 있을라고...... 싶으시죠?


저는 RDI 수치 90이 넘는 환자분도 본 적이 있어요. ㅡㅡ;;





자는동안 무호흡 증상이 나타나면 우리 몸은 산화반응이 일어나고 긴장과 스트레스를 받게 되요.


온 몸이 쉬지 못하고 호흡을 위해 분주히 움직여야 하니까요.


이 때 스트레스 호르몬은 코르티솔이 분비되는데 이 호르몬이 일시적으로 몸 안의 당을 올라가게 만들어요.


처음에는 순간적으로 당이 올가는 정도지만 매일밤 1시간에 30회씩, 10년간 지속된다고 생각하면........


결국엔 당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지게 만드는 거죠.





대개의 질환이 단 하나의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지 않잖아요.


조금씩 서로 영향을 주며 서서히 건강을 해치고 있지만 우리는 방관하는 거죠.


수면무호흡증이 당뇨병이랑 밀접하다더라고 머리로만 아는 것이 아니라 보다 적극적으로 치료받는 것도 좋지 않을까요?


내가 코골이가 있고 기간이 오래 되었다면 한 번쯤 수면클리닉을 방문해서 점검하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





온라인 상담 (신청)


전화 상담 (예약)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