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불안증후군 코골이를 이기자! 2022. 1. 5. 15:39
꽤 된 일이긴 합니다만, 오랜만에 지인에게 연락이 왔어요. 무슨 일인고 하니, 어머님께서 다리가 아파서 잠을 못 주무신다는 얘기를 하더라고요. 병원에 가서 검사도 받아봤는데 신경에도 별다른 이상이 없고, 예상했던 하지정맥류도 아니어서 영문을 모르겠다는거죠. 어머님은 여전히 밤에 잠을 잘 못 주무시지, 어떻게 해야 하나 싶어 밤새 인터넷을 검색하다보니 하지불안증후군이라는 질환이 눈에 들어오더랍니다. 하지불안증은 신경계의 문제도 아니고, 하지정맥류도 아닌 바로 수면 장애입니다. 물론 직접적으로 불편한 곳은 다리이지만, 대체적으로 잠에 들기 전에 다리가 불편하면서 잠을 못 자게 괴롭히곤 하죠. 하지불안증이 있을 경우 편안한 숙면은 사실 기대하기 힘들어 집니다. 잠은 오는데 다리에 느껴지는 이상한 불쾌감에 다리..
숨수면클리닉 코골이를 이기자! 2022. 1. 4. 16:25
유명한 정치가들의 조언들 중에는 이런 말이 있습니다 “잠은 4시간만 자도 충분하다” 24시간 중에 20시간을 최대한 활용해야 성공할 수 있다는 말이죠. 하지만 지금도 아닙니다. 잠의 정석이 달라졌습니다. 건강을 위해서라도 수면시간은 더 필요하며 4시간이 아닌 평균 8시간은 자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그래서 수면을 통해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수면클리닉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져가고 있습니다. 많은 현대인들은 늘 수면부족에 시달리고 불규칙한 수면리듬 때문에 각종 수면장애질환에 시달리고 있거든요. 제 예상으로는 우리나라가 그런 현대인의 수가 많기로 상위권에 들 것만 같습니다.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교 연구진은 8시간 반을 수면에 취하는 것이 좋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적이 있습니다. 8시간으로 알고 계신 분들이 많..
코골이-수면무호흡증 코골이를 이기자! 2022. 1. 4. 16:00
자도 자도 잠은 계속 오고, 머리도 늘 무겁고, 이유없이 예민해져 짜증도 늘고, 집중력이 떨어져 이런 저런 문제가 생기고 있다면, 수면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평소 코골이가 심한 분들은 수면질환을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특히 수면무호흡이 있다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드시 수면클리닉에서 체계적 검사와 치료를 해야합니니다. 만약 수면무호흡을 치료하지 않고 오랫동안 방치하였을 경우, 폐혈관의 수축과 일시적인 폐동맥고혈압으로 인해 질식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교감신경계의 활동 증가로 혈관수축과 함께 고혈압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중증 폐쇄성 무호흡 환자가 치료를 받지 않으면 최소 12년 후 심혈관계 사망률이 17%정도 높아지며, 논문에 따라서는 10년 뒤 35%정도의 사망률 증가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코골이-수면무호흡증 코골이를 이기자! 2022. 1. 4. 15:34
40대부터 60대까지를 일컫는 중년층은 안정적인 직장과 금전적 여유, 자녀들의 독립 등으로 인생의 황금기로 불리는 기간입니다. 생활과 직장, 가정이 안정을 이루는 이 시기에 중년을 괴롭히는 질병이 있습니다. 바로 전세계 사망률 2위를 기록하는 뇌심혈관질환입니다. 평소 건강한 식습관과 운동으로 뇌심혈관질환을 관리했다고 해도 완전히 예방하지는 못합니다. 이는 자신도 모르는 새에 나타날 수 있는 수면무호흡증 때문입니다. 자는 동안 발생하는 수면무호흡은 단순 수면장애를 넘어 고혈압, 뇌졸중 등 뇌심혈관질환을 포함한 각종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수면질환입니다.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 기도가 좁아지다 못해 완전히 폐쇄돼 일정시간 동안 무호흡이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주로 코골이가 심해지다가 ‘커컥’ 하는 소리를 내..
기타 수면질환 코골이를 이기자! 2022. 1. 4. 15:17
국내 대학 연구팀이 국제 학술지에 발표한 연구결과를 보면 '혈중 비타민 D 농도가 옅으면 깊게 잠을 자지 못할 위험도가 36%나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이는 비타민 D가 부족하면 수면을 시작하는 생체 시계의 작동이 느려지는데다 깊은 잠을 유도하는 뇌 호르몬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삼성창원병원 직업환경의학과의 채창호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는 햇빛을 볼 수 없는 근무환경이 비타민 D 결핍의 주요한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건강식품(비타민D 보충제)을 과용하는 것이 오히려 해로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숙면을 위해서는 낮에 햇빛을 쬐는 것도 중요하다는 사실을 잊지 마시고, 점심 시간을 이용해 잠깐의 산책을 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수면의 질을 높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