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증, 과한 졸음도 의심해보세요




여러분은 '수면무호흡증' 하면 어떤 게 떠오르나요?


코골이? 비만? 호흡곤란? 합병증?


수면무호흡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들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정보들을 떠올리실 텐데요.


알고보면 과한 졸음 또한 무호흡증을 대표하는 증상 중 하나라고 합니다.


그런데 사실 졸린 증상은 여러 원인에 의해 나타나기 때문에 졸음만 가지고는 수면무호흡이라 확신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수면질환 환자들이 느끼는 졸음의 특징에 대해 설명드릴려고 합니다.


덧붙여 의심 증상이 있을 때 실시하는 검사부터 치료방법까지 상세하게 알려드릴 예정이니 끝까지 꼼꼼히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그럼 지금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자꾸만 쏟아지는 졸음, 원인은 전날 수면에 있다?


수면무호흡증 졸음의 특징은 1)충분한 수면 뒤에도 나타난다는 것과 2)집중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졸음을 느끼는 것, 3)단순히 졸린 것 보다는 주로 피곤하다는 느낌을 받는 겁니다.


이러한 특징이 나타나는 건 무호흡증 졸음의 원인이 수면의 질 저하에 있기 때문입니다.


수면무호흡증은 기도의 폐쇄나 협착으로 2~10초 동안 숨이 멈추는 증상인데, 한 시간에 5~30회 이상 반복적으로 나타납니다.


문제는 무호흡이 발생할 때 뇌파가 논렘수면에서 렘수면으로 전환된다는 겁니다.


이를 뇌가 각성했다고 얘기하는데, 한 시간에 5~30회 이상 호흡이 끊기면 뇌가 거의 잠들지 못해 수면의 질이 떨어지고 피로가 누적됩니다.


그 결과 피로가 쌓이고 쌓여 낮 동안에 과도한 졸림증이 몰려오는 겁니다.






수면무호흡증, 검사부터 치료까지


수면질환은 방법만 안다면 누구나 치료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우선 치료를 위해선 정확한 증상 검사가 필요한데요, 호흡이 끊기는 횟수를 측정해줄 수면다원검사가 진행됩니다.


수면다원검사로 통해 수면 중 무호흡이 확인됐다면 호흡을 멈추게 하는 원인인 기도 협착에 대해 구체적으로 검사합니다.


기도의 폐쇄 부위를 확인하는 내시경 / 초음파부터 기도 내부를 입체적으로 확인하는 3DCT 검사까지, 치료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기 위해선 모든 검사를 빠짐없이 꼼꼼하게 받으셔야 합니다.





검사가 끝나면 치료 설계가 이뤄지는데, 맨 처음 외과적 치료, 즉 수술을 할건지 말건지부터 결정하게 됩니다.


외과적 치료를 받을 시 통증은 있지만 보다 근본적인 문제에 접근하기 때문에 일정 기간이 지나면 정상인처럼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습니다.


반면 양압기를 사용하면 통증이나 위험성은 없지만 평생동안 매일 밤 사용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때문에 각각의 특징을 생각하여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외과적 치료를 선택했다면 앞서 실시한 검사결과를 토대로 원인과 해부학적 구조에 맞춘 치료법이 설계됩니다.


보통 다섯 가지의 기도확장술 중 두 세 가지 이상의 치료법이 복합적으로 사용됩니다.


치료법에 대한 설계까지 마친 환자는 입원일자를 예약하고, 당일에 병원으로 내원해 치료를 받게 됩니다.


수술이 끝나면 하루나 이틀 정도 병원에 입원했다가 퇴원합니다.


이후 두 세 차례 병원에 방문해 치료받은 부위를 확인받고, 염증 소독 및 실밥 제거 등 필요한 사후 관리를 받으시면 됩니다.





양압기를 선택한 환자는 구매를 할지 대여를 할지 결정해야 합니다.


단, 건강보험은 대여 시에만 적용된다는 점을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어떤 방식으로든 양압기를 선택하고 나면 집에서 치료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양압기는 마스크를 통해 전달되는 공기압력으로 기도를 넓히는 방법입니다.


사용법은 기기 종류에 따라 다른데요.


수동형은 미리 압력값을 맞춰놓고 정해진 값으로 호흡을 하는 반면 자동형은 기기의 인공센서가 호흡을 자동으로 측정해 필요한 압력값을 그때그때 설정하여 출력합니다.





아직 어떤 치료법도 결정하지 못했다면?


검사 후 의료진과의 상담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선택하는 게 좋습니다.


수술과 장치 치료 모두 열려있는 곳, 숨수면에서 시작하세요.



온라인 상담 (신청)


전화 상담 (예약)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