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골이 수면무호흡증, 어떤 진료과를 찾아야할까?
- 코골이-수면무호흡증
- 2020. 7. 28. 17:37
어떤 병에 대해 중점적인 치료를 받고자 한다면 증상에 맞는 진료과를 찾아가야 합니다.
진료과는 환자를 진찰하고 치료하는 여러 전문 분야를 가르키는 것으로, 각 진료과에 따라 검사와 치료방법에 차이가 있으므로 선택에 신중해야 합니다.
실제로 동일한 증상이지만 진료과에 따라 다른 증상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에는 치료까지 부적합한 방법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환자에게 큰 손해입니다.
따라서 치료받고자 하는 증상이 어떤 진료과에서 다루는 증상인지부터 확인해둘 필요가 있습니다.
코골이 수면무호흡증도 진료과가 헷갈리기 쉬운 증상입니다.
코골이만 보면 이비인후과를 방문해야 할 것 같지만 수면무호흡증을 보면 호흡기내과를 찾아야할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또한 잠버릇의 일종이라 생각하여 수면센터를 방문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수많은 진료과 중 코골이 수면무호흡증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진료과는 어디일까요?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공통적인 특징은?
어떤 진료과가 적합한지 알기 위해서는 방문하고자 하는 진료과의 특성과 증상의 특징을 알아야 합니다.
그런 다음 각 특징에 부합하는 진료과를 찾아야 하죠.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은 아래와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1. 자면서만 발생하는 증상이다
2. 숨을 들이마실 때 생기는 증상이다
3. 대부분의 원인이 좁은 기도에 있다
4. 저호흡 또는 무호흡이 나타난다
5.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기도 한다
대표적인 특징들만 살펴봤는데요, 전체적으로 수면, 그리고 호흡과 관련이 있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앞서 보신 것처럼 대부분의 원인이 좁은 기도에 있기 때문입니다.
기도는 목 쪽에 위치하여 산소가 운반되는 통로 역할을 합니다.
깨어있는 상태에서는 기도 주변의 근육들이 긴장을 유지하여 기도가 좁아지지 않게끔 만들어주지만 잠을 자는 동안에는 몸의 모든 근육들이 이완되기 때문에 기도 또한 좁아지게 됩니다.
이때 흡연, 비만, 상기도 구조 등에 의해 기도가 심하게 좁아지면 산소가 혀뿌리, 목젖, 연구개에 마찰되는 소음인 코골이가 발생하고, 아예 기도가 폐쇄되면서 수면무호흡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또한 호흡에 문제가 생기면서 자고 있던 뇌가 각성상태로 변해 수면 분절이 일어날 수 있으며 수면의 질이 떨어지고 심한 피로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코골이 수면무호흡증은 기도를 넓히는 치료가 우선적으로 필요하고, 진료과 역시 기도를 넓힘과 동시에 수면 호흡과 뇌파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곳이어야 합니다.
수면 호흡장애는 수면클리닉에서 치료해요
코골이 수면무호흡증의 진료과는 수면클리닉입니다.
자면서 발생하는 수면 증상을 확인할 수 있고, 협진을 통해 각 증상과 원인에 맞는 치료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는 수면장애 증상이 있다면 복합적인 치료까지 고려해볼 수 있는 곳입니다.
수면클리닉에서는 수면 증상을 확인할 수 있는 수면다원검사가 시행됩니다.
수면다원검사는 생체반응을 감지해내는 총 20여 개의 센서로 약 6~7시간 동안 잠을 자면서 검사를 진행해 수면 뇌파, 호흡, 근전도, 심전도 등을 알아냅니다.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환자는 무호흡의 발생 여부, 수면 중 뇌파 각성 빈도, 이 외의 수면장애 증상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확한 원인 파악을 위해 기본 구조검사 및 정밀 기도검사가 진행됩니다.
원인 검사까지 마치면 수술과 비수술 중 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한 방법에 따라 맞춤치료 설계가 이뤄집니다.
숨수면클리닉은 이비인후과, 내과, 치과 등 각 분야의 의료진이 협진을 진행하기 때문에 원인에 맞춰 필요한 치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비수술인 양압기 처방도 원내에서 이뤄지고 있으므로 렌탈, 구매, A/S 서비스, 소독 및 멸균, 온라인 관리 시스템 등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