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불안증후군, 알고 가실게요~



하지불안증후군, 알고 가실게요~


세계의 인구는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중국의 인구는 10억을 넘은 지 오래고 2위를 달리는 인도 또한 그에 근접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또한 출산률이 낮아지긴 했지만 그래도 전과 비교하면 늘어났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 인구들 중에서 약 7.5%정도의 인구가 밤마다 힘들어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무슨 일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밤이 되면 나타나는 하지불안증후군


해가 지고 어두워지기 시작하면 우리 몸의 생체리듬은 휴식을 요구합니다.


그만 움직이고 편히 누워서 수면을 취하라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죠. 그런데 그 순간 다리에서 이상감각이 모습을 드러내며 방해를 하기 시작합니다.


하지불안증후군입니다.


낮 동안에 멀쩡했던 다리가 갑자기 저려오기 시작하고 전기가 흐르는 것처럼 찌릿찌릿한 감각이 느껴집니다. 그리고 힘이 없는 상태라고 해도 다리를 마구 움직이고 싶은 충동까지 나타납니다.


어떤 사람은 분명 다리에 아무것도 없는데 다리 위에 벌레가 움직이는 듯한 불쾌한 감각까지 느껴진다고 합니다.


하지불안증후군은 다리에 이러한 이상감각들이 집중되면서 도저히 수면을 취할 수가 없게 만드는 수면질환입니다.


통계를 보면 우리나라 인구의 약 7.5%인 300만 정도가 앓고 있다고 해요. 그렇기 때문에 언젠가는 본인이 포함될 수 있다는 생각을 갖고 알아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불안증후군, 밤에 왜 심해질까요?


이상한 감각이 없었던 다리가 밤이 되면 갑자기 모습을 드러내고 갑자기 심해지는 이유는 아직까지 정확히 밝혀진 바는 없습니다.


하지만 그 원인을 계속 연구 중에 있으며 지금까지 밝힌 부분 중에서 유력한 원인은 도파민의 결핍입니다. 밤이 되면서 도파민의 결핍이 발생하면서 하지불안증후군 증상들이 나타난다는 것이죠.


신경전달물질의 하나인 도파민은 신경세포들이 서로 간에 신호를 전달할 때 사용하는 물질인데 이 물질의 대사에 장애가 발생하면 다리에 이상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도파민의 양은 주로 낮에는 충분하지만 밤에는 서서히 줄어들게 되는데 이 조절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면서 하지불안증후군이 나타나게 됩니다.


그래서 밤이 되면 조절에 문제가 있는 사람은 다리에 이상감각들이 발생하게 되고 아침이 되면 다시 도파민의 양이 늘어나게 되면서 증상이 서서히 사라지는 것을 경험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증상을 오래 겪게 되면 밤에 잠을 못 자는 날이 늘어나면서 불면증이나 우울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불안증후군, 어떤 질병과 구분이 어려울까?


IT강국인 대한민국은 전 국민 누구나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하고 원하는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간단한 키워드 조합으로 검색하면 대부분 원하는 정보를 얻죠.


그래서 하지불안증후군이 있는 분들은 다리가 저리는 증상 등등을 검색하여 병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할 것입니다. 그런데 해보시면 아시겠지만 병들이 하나가 아니에요.


가장 대표적이 질병은 하지정맥류이며 다리근육이 지속적으로 수축하는 야간다리경련, 발가락에 심한 통증이 오는 통증하지와 이동발가락증후군, 잠들 때 짧은 시간 동안 근육수축이 일어나는 수면간대성근경련증도 검색됩니다.


이러한 병들은 하지불안증후군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고 경우가 있기 때문에 위 문단에서 설명한 내용들을 통해서 감별을 하셔야만 치료를 위한 병원을 올바르게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설명을 보면 다리의 저림과 다른 부분들이 보이게 되는데 실제로 겪어본 사람들은 위에 설명한 증상들과 오해를 하기가 쉽다고 합니다. 그저 다리가 불쾌하고 짜증난다고 표현을 많이 하시거든요.


그리고 유력한 원인으로 밝혀진 도파민의 생성은 철분과 관련이 깊습니다. 그래서 남성보다는 여성의 발병률이 높으며 특히 임신을 했을 때는 더욱 높아진다고 합니다.


이렇게 하지불안증후군은 우리 곁에서 언제든지 여러분에게 찾아갈 준비를 하고 있는 질병입니다.


그리고 발병하면 다리의 자유를 앗아감과 동시에 수면장애를 선물하죠.


그렇기 때문에 지금 알려드린 내용을 기억하셨다가 해당 증상을 경험하셨다면 상담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온라인 상담 (신청)


전화 상담 (예약)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