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골이-수면무호흡증 코골이를 이기자! 2019. 4. 1. 17:12
멀쩡하게 깨어있을 때도 조금만 숨을 안쉬어도 답답한데, 나의 의지로 어쩔 수 없는 잠자는 상황에서 숨을 쉬진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런데 우리 주변에서 이렇게 자는 동안 숨이 멈추는 증상이 있는 분들이 많으세요. 바로 수면무호흡증을 앓고 있는 분들인데요. 수면 무호흡증은 자는 동안 숨을 쉬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드르렁 코를 골며 자다가 컥하고 잠시 숨이 못쉬다가 잠시 후 푸우~~하고 숨을 몰아 쉬는 경우가 바로 이에 해당됩니다. 잠시 숨을 못쉬는 시간이 약 10초, 그 횟수가 시간당 5번 이상이 되면 중증 무호흡증이라 할 수 있지요. 수면무호흡증, 도대체 왜 그런 증상이 나타나는 걸까요? 우선은 좁은 기도가 원인입니다. 기도가 좁아지게 되는 데는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흔한 이유는 비만입니다..
코골이-수면무호흡증 코골이를 이기자! 2019. 3. 20. 08:00
심한 코골이 때문에 각방을 쓴다는 부부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코골이를 시끄럽고 요란한 잠버릇으로 생각해서 일단 소리만 듣지 않고 자면 된다고 생각하는 경우인데요. 좁은 기도가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코골이는 심한 경우 수면무호흡증으로 이어질 수 있기 떼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수면무호흡증은 잠을 자는 동안 몇 초간 호흡이 멈춰서 공기가 폐로 통과하지 못해 저산소증을 발생시키는 무서운 수면질환입니다. 치료하지 방치할 경우 고혈압과 뇌졸중, 당뇨병, 심근경색, 부정맥, 치매, 성기능 장애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시키는 위험한 수면질환이라 할 수 있습니다. 무슨 질환이든 마찬가지지만 수면무호흡의 경우에도 치료하지 않고 오랫동안 지속될 경우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기 때문에 자는 동안 코골이가 심하고, 때로..
코골이-수면무호흡증 코골이를 이기자! 2019. 3. 4. 16:03
코골이의 심각성을 모르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은 것이 현실입니다. 코를 고는 것이야 아주 흔한 증상인데, 뭐 그리 심각할 것이 있겠냐 생각하는 것일텐데요. 실상을 알고모면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코골이가 오랫동안 방치될 경우 수면무호흡증이 나타날 수 있는데요. 무호흡 증상이 오래될 경우, 수면 중 무호흡 상태에 따른 질식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고 있는 동안 숨이 멈춘다는 것은 그리 가벼운 문제가 아닙니다. 수면무호흡이 오랫동안 지속되면 폐혈관 수축과 일시적인 폐동맥 고혈압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이것은 고혈압의 원인이 되게 됩니다. 수면 중 무호흡이 저산소증과 연관되어 수면 중 심각한 부정맥을 초래할 경우에도 심혈관계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는데요. 코골이를 가볍게 보아서는 안될 이유입니다. 이..
코골이-수면무호흡증 코골이를 이기자! 2019. 2. 13. 15:15
인간은 인생의 3분을 수면으로 보냅니다. 수면은 스트레스 완화, 면역력 강화, 피로 회복, 성장 호르몬 분비 등 우리 삶에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건강한 수면은 삶의 행복을 좌우하는 중요한 잣대가 됩니다. 그런데 현대인들의 수면 건강은 그리 좋은 상태가 아닙니다. 각종 스트레스와 야근, 음주와 흡연으로 늦은 밤까지 잠 못 드는 사람들은 점점 늘어나고, 밤은 휴식의 시간이 아니라 노동의 연장으로 이어집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에 따르면, 수면장애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최근 5년 간 84.6%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숙면을 취하지 못하거나 수면 중 자꾸 깨어나는 증상이 대부분이라고 합니다. 경기침체와 고용불안정으로 세대와 직종에 구분없이 스트레스가 현대인의 몸과 마음을 갉아먹고 ..
코골이-수면무호흡증 코골이를 이기자! 2019. 2. 11. 15:57
밤새 안녕히 주무셨나요? 아무 생각없이 나누는 인사말인데, 가만히 생각해보면 이만한 아침인사가 없는 듯해요. 밤새 숙면을 취해야 다음날 좋은 컨디션으로 하루를 보내게 되니깐요. 그런데 아침에 일어나도 뭔가 찌뿌둥하고, 머리도 지끈하니 잠을 잔 것같지도 않은 느낌이 매일 반복된다면 이게 정말 문제입니다. 분명 숙면을 취하지 못한 탓인데요, 평소 코골이가 심한 분이라면 무호흡증을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코를 고는 것은 수면 중 호흡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증거인데 이 상태가 오래 지속될 경우 수면 중에 호흡이 멈추는 증세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특히 과체중이나 비만인 환자들의 경우 수면무호흡이 있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뇌심혈관질환의 발생의 중요한 요인인 혈전 형성에 영향을 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