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증 치료, 필요합니다.


소리만 요란한 코골이라면 모를까!!!!


코를 고는 중간중간 숨을 멎는 무호흡증이 있다면?????


당연히 수면무호흡증 치료가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코골이는 수면 중 무호흡을 동반하기 때문에 굳이 구분해서 부르지 않지만,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은 엄연히 달라요.


수면무호흡은 이름 그대로 수면 중에 호흡이 없는 것이거든요.


의학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몸에 산소가 공급되지 않으면 문제가 생길 수 밖에 없겠죠?


그 문제가 어떤 문제건 간에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면 당연히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겠구요.


그래서 코골이와 다르게 수면무호흡증 치료는 필수라 부르는 겁니다.





잠이 들면서 어떤 원인에 의해서 기도가 좁아지게 되고,


어느 순간 기도가 좁아지다 못해 막혀서 산소 공급이 중단됩니다.


이렇게 말씀드렸더니 어떤 분은 수면무호흡로 인해 죽을 수도 있지 않느냐고 물으시는데요.


아직까지 수면무호흡 자체로 사망에까지 이르는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하니 그리 큰 걱정은 안하셔도 되요.





짧은 순간이지만 호흡이 멎으면 뇌가 호흡을 위해 깨어나요.


이것을 '각성'이라고 부르는데요.


잠에서 깨는 것과는 다르기 때문에 나는 잤다고 여기지만 몸은 충분히 휴식을 취하지 못한 상태가 되요.


수면 무호흡 증상을 갖고 있는 분들 대부분이 주간 졸림증이나 만성 피로감을 호소하는 이유가 바로 이거에요.


하지만 주간 졸림증이나 피로감이 지속되더라도 잠을 충분히 잤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수면무호흡 같은 수면질환이 아닌 간 기능을 의심하는 경우가 많아요.





이야기가 잠시 옆으로 빠졌으나......


제대로 돌아왔습니다. ^^


수면 중에 무호흡 증상이 나타나면 뇌가 호흡을 위해 깨어나고, 호흡을 위한 신체의 여러 곳이 움직이기 시작해요.


혈액 안에 남은 산소라도 몸 구석구석 운반해서 사용하려고 혈액은 좀 더 빨리 돌게 되구요.


이 때 혈압이 상승하게 되는 거에요.


수면무호흡증의 대표적인 합병증을 고혈압이라 말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에요.


놀랍게도 고혈압 환자의 절반 가량이 수면무호흡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답니다.


수면무호흡증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의 30% 정도가 고혈압을 앓고 있다고 하구요.





또 수면호흡장애가 심혈관계 질환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구요.


중증의 폐쇄성 무호흡 환자가 수면무호흡증 치료 없이 최소 12년이 지난 후엔 심혈관계 질환 사망률이 17%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요.


지금도 꾸준히 수면질환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면서 무호흡증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도 구체적으로 드러나는데요.


가장 중요한 것은 수면무호흡은 치료할 경우 거의 모든 건강 지표 면에서 무호흡증을 앓지 않는 사람들과 비슷해진다는 점이에요.


그래서 홍시가 수면무호흡증 치료가 필요하다고 자신있게 말씀드릴 수 있는 거죠.





대부분의 질병이 치료 시기가 중요하다고 하잖아요.


수술 치료가 되었든 장치 치료가 되었든, 수면무호흡증 치료도 시기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어요.


당장 생명에 지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방심했을 때,


나도 모르게 건강은 망가지고 있다는 점, 기억하세요.


주간졸림증이나 피로감이 사라지는 것만으로 개운하다는 분들도 계시니 수면무호흡증 치료 효과가 건강적인 측면, 하나만은 아니기도 하구요.





이런 수면무호흡증 치료의 시작은 상담부터. ^^


수면무호흡의 원인을 알아내고 그에 맞는 적절한 치료법을 함께 의논할 수 있습니다.


무료상담, 클릭하셔도 좋습니다.



무료상담신청 (클릭)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