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골이-수면무호흡증 코골이를 이기자! 2019. 6. 19. 11:13
사람의 생활이나 건강과 관련된 연구는 결과가 나오는 데 상당히 오랜 시간이 필요합니다. 10년 이상을 지켜보는 건 당연하구요, 한 세대만 연구해서는 알 수 없어 몇 세대에 걸쳐 조사하면 100년도 거뜬합니다. 간단하게 코를 고는 일만 살펴봐도 그래요. 코를 심하게 곤다고해서 당장 1-2년 안에 목숨이 좌지우지 되지 않거든요.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하여 코를 골 때의 사망률이 보통 사람들보다 17% 가까이 높다고 하지만 그 기준은 10년 이상 코를 골았을 때라고 단서가 붙습니다. '10년 이상 코를 골았을때' 라는 단서는 서서히 건강을 갉아먹는다는 의미로 해석하는데 이 말은 결과를 얻어내기 위해 10년 이상 연구를 진행했다는 말도 되지요. 서론이 길었습니다. 이렇게 서론이 길었던 이유는 예전에 뉴스에 나왔던 ..
코골이-수면무호흡증 코골이를 이기자! 2019. 6. 10. 15:15
주변을 보면 어디에나 코를 고는 사람이 있는데 그걸로 죽은 사람 하나 못 봤습니다. 자면서 시끄럽게 코를 골아서 남이 피해를 좀 보는 거지 그걸로 아픈 사람도 하나 못 봤습니다. 잘 때만 불편하지 눈 뜨면 멀쩡한 걸 이상하게 사람 몰아서 큰 병처럼 생각하게 만든다....... 싶지 않으세요? 뭐든 이상하게 보면 이상한 거고 좋게 보면 좋은 건데 걱정할 필요 없다고 생각하진 않으시나요? 사람의 수면은 일정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요. 눈을 감고 잔다고 해서 모두 똑같은 잠이 아닙니다. 내가 사물을 보고 냄새맡고 느끼고 생각하는 건 의식이 있을 때에요. 잠이 들면 이런 의식이 없어지니 당연히 뇌도 최소한의 기능만 두고 쉰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렇지 않아요. 뇌가 완전히 쉬는 게 아니라 일정한 간격으로 깨어난답니..
코골이-수면무호흡증 코골이를 이기자! 2019. 5. 22. 11:13
나는 원래 코를 골지 않았었는데 갑자기 코를 골게 되었다? 그렇다면 두 가지를 생각해 보세요. 갑자기 살이 찌지는 않았는지, 폐경기의 중년 여성은 아닌지. 코골이는 대개 퉁퉁한 중년 남성의 전유물처럼 여겨집니다. 그래서 퉁퉁한 중년 남성이 코를 골기 시작하면 코를 갑자기 골게 되었다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어요. 일반적으로 이렇게 생각하지만 코를 고는 것은 엄연히 수면질환 중 하나로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답니다. 다만 갑자기 코를 골게 된 원인이 다른 질환에 비해 한정지을 수 있어요. 대표적 원인이 바로 갑자기 살이 찌는 경우와 여성호르몬이 더이상 분비되지 않는 것입니다. 오늘은 여성호르몬이 분비되지 않는 경우 보다는 살이 쪄서 코를 골게 되는 얘기를 집중적으로 해볼게요. 코골이는 좁은 기도가..
코골이-수면무호흡증 코골이를 이기자! 2019. 5. 14. 14:36
코를 심하게 고는 경우, 살을 빼면 좀 나아진다라고 이야기하는 분들이 계십니다. 실제 병원에서도 체중감량을 권하기도 합니다. 살을 빼면 코고는 소리가 줄어든다는 이야기는 근거가 있을까요? 핀란드 연구진에 따르면 "코골이 환자 중 과체중인 성인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체중을 5%만 줄여도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이 80%가량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코골이는 기도가 좁아지면서 생기는 증상입니다. 살이 찌면서 체지방이 쌓이게 될 때 인두나 후두점막 밑에도 체지방이 쌓이면서 기도가 좁아져 코를 골게 되는 것이지요. 그렇기 때문에 체중 감량 후 체지방이 빠지면 코 고는 증상이 완화되기도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다이어트를 하여 코고는 것이 조금 줄어들었다고 이것을 근거로 무조건 좋아진다고 일반화시킬 수는 없습니다. 왜..
코골이-수면무호흡증 코골이를 이기자! 2019. 4. 26. 12:05
코골이를 그저 잠버릇이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의외로 많이 계세요. 치료를 해야하는 수면질환인데도 말이지요. 코골이는 수면 중 좁은 기도에 공기가 통과하면서 연구개, 혀뿌리 등을 떨리게 하여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원인은 대개 '좁은 기도' 때문인데요. 만약 기도가 막혀 수면 중 호흡이 가빠져 일시적으로 멎거나 불규칙해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수면무호흡증입니다. 수면무호흡증은 숙면을 방해하고, 체내 산소 부족에 의한 여러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는 위험한 수면질환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한 연구에 의하면 수면장애 환자를 12년간 추적관찰한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치료받지 않은 기간이 길어질수록 협심증, 심근경색증, 뇌졸중 등 심각한 심뇌혈관질환 발병률이 늘어나고, 특히 중증 수면무호흡증 환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