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골이수술, 제대로 효과 보려면......
- 코골이-수면무호흡증/수술적치료
- 2016. 1. 25. 15:41
코를 골아 고민 중이신가요?
치료를 알아봤더니 또 갈림이지요?
양압기를 사용할 것인지, 코골이수술을 할 것인지.
장치로 하자니 밤마다 마스크를 끼고 자는 게 보통 일은 아닐 거 같고,
그렇다고 몸에 칼을 대자니 두렵기도 하고 재발이 될지도 모르고.
그깟 코고는 사람이야 주변에 차고 넘쳐나는구만,
그냥 두고 살자고 맘먹으면 매스컴에서 수면무호흡증이 어쩌고저쩌고 이야기하구요.
어렵습니다.
어차피 양압기 착용을 결정하면 그건 내가 장치를 잘 착용하고 자면 되는 거니까
실패(?)한다고 하는 경우 대부분이 환자의 자의적 착용 포기상태인 거죠.
그러니 그건 살짝 미뤄두고.
오늘은 코골이수술을 통해 제대로 효과를 볼 수 있는 팁을 알려드릴게요.
홍시 주관적인 기준일 수 있지만 많은 사람이 공감한다면 좋은 기준일 수 있잖아요. ^^
코골이수술을 통해 제대로 효과를 보려면 먼저 원인을 제대로 알아야 한다고 생각해요.
예를 들어 다리가 아플 때.
많이 걸어서 다리가 아픈 건지, 키가 자라느라 아픈 성장통인 건지,
척추가 좋지 않아 다리가 아픈 건지, 하지정맥류나 하지불안증후군인지.......
원인을 알아야 그에 맞는 치료를 하는 것과 같은 거에요.
코를 곤다고 하면 대부분 코 자체의 문제로 소리가 난다고 생각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코가 아닌 좁은 기도가 원인이거든요.
코의 문제인지 좁은 기도가 원인인지를 정확하게 알아야 코골이수술을 해도 제대로 할 수 있겠지요?
또 기도가 좁다면 그 좁은 이유에 따라 디테일한 원인 부위도, 치료의 방법도 달라지게 되구요.
그러니 코골이수술의 첫 번째는 수면다원검사, 3DCT 촬영 등을 통한 원인 찾기에서 시작됩니다.
원인을 찾았다면 그 다음은 집도하는 의료진이 중요합니다.
관련 집도 경험이 많은 의사인지,
치료 후 정상화 사례가 많은 병원인지,
널리 알려진 편도, 목젖 제거는 물론 기도확장이 가능한지 등을 알아봐야지요.
우리나라는 수면전문의 과정이 없다는데 의료진이 수면질환에 대한 남다른 애정이 있다면 더욱 좋겠지요?
홍시가 생각하는 마지막은 이미 코골이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평가인데요.
치료를 받은 후에 아무 이득도 없는 후기를 남길 정도라면 만족도는 물론 치료효과도 높았다고 할 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병원 관계자의 이야기보다 같은 환자 입장에서 더욱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도 있구요.
여기에 하나를 덧붙이자면 모든 자료의 공개여부라고 말하고 싶어요.
치료경험담이야 많이 찾을 수 있지만 환자의 3DCT 촬영본이나 RDI 수치를 공개하는 곳은 많지 않거든요.
3DCT 촬영본은 치료 전과 후의 기도 변화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좋은 자료에요.
RDI 수치는 수면무호흡지수를 나타내는데, 코골이수술 후에 정상화되었다고 진단하는 자료가 되기도 합니다.
수술을 했으니 이제 치료가 끝났다고 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가 되었던 이 부분이 치료 후에 이렇게 달라졌고,
그래서 이젠 정상 범위에 들어오게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는 자료는 아주 중요하니까요.
이 정도 기준을 가지고 코골이수술을 알아본다면 제대로 효과를 볼 수 있지 않을까 싶은데, 어떠세요?
홍시가 근무하는 숨수면클리닉은 어떤지 궁금하시다면
지금 바로 홈페이지를 방문해보세요.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