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센터, 나도 겨울잠 한번 자볼까!




수면센터, 나도 겨울잠 한번 자볼까!


다른 해에 비해 유난히 일찍 찾아온 겨울바람.


따뜻한 히터가 돌아가는 사무실에 가만히 앉아서 일하다 보면 저절로 잠이 쏟아지기 십상인데요.


졸음을 참아내며 일을 하다 보면 몇 개월 내내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이 부럽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사람은 동물처럼 몇 개월 동안 아무것도 먹지 않고 겨울잠을 자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깊은 잠을 통해 겨울잠 못지 않은 충분한 휴식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잦은 야근과 회식 등 잘못된 사회문화로 인해 국내 직장인들이 충분한 잠을 매일 자기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이렇게 적절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양질의 잠을 잘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면센터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수면센터는 단순히 잠 잘 재워주는 곳?


보통 수면센터라고 하면 뭐 하는 곳인가 하고 한번에 떠올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지어 요즘 직장인들이 점심시간에 낮잠을 잘 수 있는 공간인 수면카페 등이 많이 생기다 보니 ‘잠 재워주는 곳인가?’라고 물어보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수면센터는 '수면질환'을 치료해주는 병원입니다.


수면질환은 말 그대로 수면을 방해하는 질환들을 이야기하는데, 각성효과나 이상감각처럼 깊은 잠을 방해하는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이나, 주간졸림증과 과수면증처럼 지나치게 많은 잠을 오게 하는 질환 등이 수면질환에 속합니다.


미국 등의 선진국에서는 이미 수면에 대한 인식이 많게는 수십 년 전부터 중요시 됐으며, 잠에 대한 중요성이 다이어트나 운동과 동급수준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수면센터에서 다루는 질환은 불면증뿐일까?


수면센터가 수면질환을 다루는 병원이란 설명을 들으면 보통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은 불면증입니다.


일반 사람들에게 가장 익숙한 수면장애는 불면증이고, 더 아는 정도라고 해 봤자 몽유병 정도입니다.


하지만, 코골이가 수면센터에서 중점적으로 다루는 질환이라고 하면 많은 이들이 의아함을 표시합니다.


보통 사람들은 코를 곤다고 하면 코 자체의 문제로 생각하여 일반 이비인후과 등에서 치료받는 것으로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코 자체의 문제만 다루는 치료는 코 고는 소리 자체를 제거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더 중요한 문제는 해결할 수 없습니다.


수면센터에서 다루는 코골이 치료의 궁극적 목표는 코 고는 증상과 함께 동반된 수면무호흡증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수면무호흡증은 숨을 쉬며 공기가 오고 가는 통로인 기도가 좁아 생기는 증상으로, 호흡이 원활하게 되지 않아 심장에 무리가 발생해 각종 위험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수면무호흡증은 수면문제를 다루는 병원에서 가장 위험한 것으로 인지하는 수면장애 중 하나입니다.






수면센터 선택은 어떻게 하는 걸까?


수면센터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해당 병원의 경력, 정상화 사례, 환자들의 후기, 의사의 전문성 등을 두루두루 살펴보아야 합니다.


얼마나 많은 환자들을 진단, 치료했는지를 보고 얼만큼 다양한 치료법을 다루고 있는지도 봐야 합니다.


외과적 치료를 시행했을 때 환자들의 정상화 사례가 홈페이지에 얼마나 많이 공개돼 있는지도 살펴봐야 하고, 공개된 사례가 의학적으로 증빙 가능한 것인지도 따져보아야 합니다.


환자들의 후기는 병원 내부에서 하는 홍보가 아닌, 치료 받은 환자가 직접 올린 글이기에 가장 믿을 만한 요소입니다.


요즘에는 신뢰성을 더하기 위해 타이핑이 아닌 자필로 후기를 남겨주시는 분들도 있기에, 이런 후기글이 많다면 더욱 믿을 수 있는 병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전문성을 따질 경우에는 국내에 수면센터가 있지만 수면전문의 제도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착안하셔야 합니다.


이 때문에 전문성을 갖고자 한 소수 의료진의 경우 미국수면전문의시험에 통과하여 국내에서 얻을 수 있는 전문성의 한계를 극복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경력을 가진 의사가 진료하는 곳이라면 보다 정상화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겨울잠 자는 동물들이 부러운 사람이라면 관심을 가질법한 수면센터.


혹시 자신에게 코골이처럼 깊은 잠을 방해할만한 증상이 있다면 위와 같은 조건을 갖춘 병원에 내원하셔서 진단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매일 아침을 겨울잠에서 갓 깨어난 동물처럼 상쾌한 기분으로 맞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온라인 상담 (신청)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