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증 수술로 치료한다.
- 코골이-수면무호흡증/수술적치료
- 2015. 4. 22. 14:27
수면무호흡증을 수술로 치료한다는 얘기는 들어보셨죠?
수면무호흡증이면 말 그대로 수면 중에 호흡이 없다는 말인데,
이걸 어떻게 수술로 치료한다는 말인지 의아할 수도 있는데요.
숨을 멈춘다고 하니 숨을 잘 쉬게 산소만 공급해 주면 된다고 생각하셔서 그래요.
하지만 수면 중에 호흡이 멈추는 것은 단순하게 보여지는 "증상"일 뿐이고.
원인은 기도가 좁은 데에 있거든요.
원인을 치료하지 않고 증상만 없애는 것은 치료라고 부르기 어렵다는 것!!!
홍시가 그리하여 포스팅하는 오늘의 주제는 수면무호흡증 수술입니다.
물론 수면무호흡증은 수술 말고도 장치를 이용한 치료법이 따로 있어요.
그러나 오늘은 수면무호흡증 치료법 중에서 수술 치료법만 집중적으로 파고 들겠다는 말씀입니다. ^^
수면무호흡증은 위에서도 잠깐 말했지만 좁은 기도에서 비롯되요.
사람이 잠을 자려고 누우면 중력의 영향으로 누구나 조금씩 기도가 좁아지게 되요.
중력의 영향으로 근육이 아래로 쳐지는데 수면 중에 근육이 이완되면 더 많이 쳐지게 되는 거죠.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 평소에도 보통사람들보다 기도가 조금 더 좁았던 사람이라면.
잠을 잘 때 일반 사람들보다 기도가 더 많이 좁아지게 되고.
이렇게 좁아진 기도로 공기가 드나들면서 기도 주변의 구조물을 진동시켜서 나는 소리가 바로 코골이에요.
수면무호흡증은 기도가 좁아지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막혀서 산소가 드나들지 못하게 되는 증상을 말하고요.
바로 이 부분.
좁은 기도를 넓게 만드는 수술.
바로 이것이 수면무호흡증 수술이에요.
보통 기도가 좁다고 하면 목구멍이나 기도 자체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세요.
그래서 수면무호흡증 수술을 기도확장수술이라고 말씀드릴 때 목 어딘가를 수술한다고 여기곤 하는데요.
기도가 좁은 이유는 생각보다 많고 목구멍 자체의 문제만이라고 말하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어요.
예를 들면 얼굴 턱이 좁고 안으로 들어간 경우인데요.
골격 자체가 밀려 있어서 기도를 좁게 만들어요.
혀뿌리가 뒤로 밀려서 기도가 좁아지기도 하구요.
또 비만으로 인해 기도 주변에도 살이 쪄서 기도가 좁아지기도 해요.
이런 경우는 수면무호흡증 수술이 어려울 때가 많아서 먼저 살을 빼야해요.
이 외에도 기도가 좁은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고 사람에 따라 각각 달라요.
그러니 목구멍에 직접 하는 것만이 수면무호흡증 수술이라고 보긴 어렵겠죠?
수면무호흡증을 유발하는 원인이 사람마다 다른데 수술법이 모두 같을 수는 없어요.
수면무호흡증 수술이라고 하면 보통 기도확장술을 이야기하는데요.
수술법은 모두 5가지가 있어요.
사람마다 원인에 따라 한 가지 수술 방법으로 수술을 하기도 하고, 2~3가지 수술 방법을 이용해서 하기도 해요.
한 번에 수면무호흡증 수술을 끝내기도 하지만 며칠 간격을 두고 진행되기도 하구요.
수면무호흡증을 치료하기 위해 수술을 선택하려면 수술 치료만의 장점을 알아야겠죠?
가장 큰 장점은, 한 번의 치료로 정상화 되는 사례가 많다는 것이에요.
장치 치료처럼 매번 잘 때마다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고, 여행, 출장 등 이동시에도 걱정이 없다는 점도 장점이 될 수 있지요.
잘 때마다 착용하는 것이 뭐 어렵냐고 생각하셨다가 포기하는 분들이 상당히 많거든요.
매일매일 끝이 없이, 반복적으로 잘 때마다 장치를 이용해야 한다는 심리적인 압박도 상당해요.
그 외에, 수면무호흡증이 사라졌으니 만성적으로 느끼는 피로감이나 집중력 저하 등의 문제가 사라지고 삶의 질이 올라간다는 점.
무시무시한 합병증을 유발한다고 알려진 수면무호흡증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없어지고 건강을 되찾는다는 점 등도 장점으로 볼 수 있어요.
수면무호흡증 치료 방법은 어디까지나 환자 본인이 하는 게 맞아요.
누구는 수술이 낫다, 누구는 장치가 낫다 말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내가 아닌 남의 이야기잖아요.
두려움도 생기고 회복하는데 시간도 필요하지만 원인을 제거하는 방법을 택할 것이냐,
당장 생명의 위협이 되는 것도 아닌데, 맘 편히 잘 때마다 장치를 사용하느냐는 오로지 '나'의 결정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 심사숙고하게 되고 망설여지는 수면무호흡증 수술.
아직도 맘의 결정이 내려지지 않는다면 전문가와 상담하세요.
생각보다 빨리 결정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