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골이 수술 이건 믿어도 된다




코골이 수술 이건 믿어도 된다


한 뉴스에서 코골이 수술을 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질환이 재발하는 사례가 많다는 보도가 나온 적 있습니다.


이 때문에 외과적 치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가진 사람들이 많은데요.


하지만 해당 보도에 나왔던 치료법은 구개수구개인두성형술로, 애초에 높은 치료효과를 기대하기 힘든 미흡한 기술입니다.


코골이 수술은 굉장히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중에는 분명히 믿을 수 있는 치료법도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외과적 치료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재발 우려 없는 코골이 수술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코골이 수술로 목젖과 연구개 일부분을 다루거나, 편도선 절제술과 목젖 절제술, 연구개 성형술 및 코 자체의 치료 등을 병합하는 식으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법들은 코 고는 증세의 근본적 원인인 좁은 기도를 충분히 넓히는 개념이 아니며, 편도선이나 목젖이 없어지는 부위만으로 기도를 넓히는 원리입니다.


문제는 이러한 기술로는 기도가 좁은 부위를 모두 해결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좁은 기도를 충분히 넓히기 위해서는 기도 자체를 확장시킬 수 있는 고난이도의 외과적 치료법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치료법을 기도확장술이라고 부릅니다.






부작용 우려 없는 코골이 수술


코 고는 증상이 다시 생기는 치료법들을 보안하고자 뛰어난 효과를 자랑하는 양악확장을 통한 치료가 실시되기 시작했습니다.


기도의 전반적인 부분인 연구개 혀뿌리 등에 대해 충분히 넓힐 수 있는 치료법으로, 상악과 하악을 앞으로 이동시켜 기도를 넓히는 원리입니다.


양악술을 통한 코골이 수술은 상하악을 모두 앞으로 전진시키므로 기도를 연구개 시작부위부터 혀 아래쪽까지 전반적으로 넓힐 수 있습니다.


다만 얼굴 뼈를 최소 10mm 이상 전진 시켜야 하므로, 미용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양악확장술은 치료 후 부작용이 염려가 될 수 있습니다.


양악확장의 경우 대부분 문제가 일시적이고, 경험 많은 전문의에게 시행 받을 경우 대부분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워낙 큰 코골이 수술이라서 상대적으로 부작용을 걱정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이 때문에 환자들이 치료목적으로 잘 선택하지 않았습니다.


현재는 의료기술의 발달과 코 고는 증세 및 무호흡증을 다루는 병원의 노력으로 양악확장을 하지 않고도 기도확장이 가능한 기도확장술이 많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정상화 가능성 높은 코골이 수술


기도확장술은 양악확장이 배제되었기 때문에 큰 부작용에 대한 우려와 비용적 부담을 크게 하지 않아도 되며,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맞춤으로 적용되는 다섯 가지 치료법이 있기 때문에 재발에 대한 가능성도 적습니다.


다섯 가지 치료법에는 혀 뒷부분을 성형해 기도를 확장하는 설근성형술, 상악 뒤쪽만 전방 이동시키는 경구개전진인두성형술, 혀가 붙은 하악을 부분적으로 이동시키는 이설근전진술, 혀를 전하방으로 이동하는 설골고정술, 혀의 가운데 볼륨을 축소하는 SMILE술 등이 있습니다.


해장 치료를 통해 무호흡증을 정상화시키는 것도 가능한데, 무호흡증의 정상화는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알 수 있는 RDI 수치로 판별할 수 있습니다.


RDI 수치가 30이상일 경우 중증, 15~30은 중등도, 5~15를 경증의 수면무호흡으로 진단할 수 있으며, 5 이하인 경우를 정상화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기도확장을 통한 코골이 수술로 정상화 사례가 단일 병원에서만 400여 개에 달하는데,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공개하는 치료사례의 수가 백여 개 정도인 것을 감안하면 매우 많은 수라 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재발과 부작용 등에 대한 우려 없이 믿을 수 있는 코골이 수술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러한 치료법을 완벽히 다루는 곳은 국내에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다루는 치료법의 수와 정상화 사례가 얼마나 있는지 등을 미리 파악하고 내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당 포스팅을 통해 전문적인 수면클리닉을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안목을 얻으셔서 제대로 된 치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온라인 상담 (신청)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