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증 증상도 없는데 어떻게 아나


수면무호흡증 증상도 없는데 내가 무호흡증인지 아닌지 어떻게 아나?


당연히 알 수가 없어요.


모든 질병이 그렇듯, 증상이 드러나야 몸의 이상을 알 수 있잖아요.


감기에 걸리면 열이 나거나 코가 막히고 기침이 나는 법이구요.


과식해서 체한다면 배가 아프거나 명치가 답답하고 머리도 아프구요.


하물며 밤새 잠을 자는 자세가 이상했다면 뒷목이 뻣뻣한 증상이라도 보이기 마련이니까요.


그런데 수면무호흡증 증상은 도무지 알 수가 없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자는 동안 벌어지는 일이니 무호흡증이 감당할 수 없을 지경으로 드러나지 않는다면,


알 수 없는 것이 맞지요.


간혹 무호흡증 증상이 너무 심해서 숨쉬기가 힘들어 잠을 깨는 분이 있어요.


(이런 증상이 보인다면 주저하지 마시고 꼭!!!! 상담받고 치료받기를 권해 드립니다.)


이 정도가 아니라면 수면무호흡은 스스로 깨닫기 어렵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내가 수면무호흡 증상이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


무호흡증 증상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건 코를 골다가 갑자기 조용해지는 거에요.


'저러다 숨 넘어가는 거 아냐?' 라고 옆에 있는 사람을 불안하게 만드는 바로 그 증상.


기도가 좁아지다 못해 잠시 막혀서 숨을 쉬지 못하는 그 상태에요.


혹시 잠깐씩 숨을 안 쉬더라는 얘기를 주변에서 들었다면 수면무호흡을 의심해 보는 것이 좋아요.


그런데 수면무호흡증 증상이 모두에게 똑같이 드러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함정입니다.





코골이가 있는 경우 대부분 수면무호흡을 동반하고 있어요.


대부분의 코골이가 무호흡증을 동반하는 이유로 둘을 크게 구분짓지 않고 부르기도 할 정도니까요.


그러니 어쩌다 한 번 코를 고는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 코를 골고 있다면,


잠깐씩 숨을 멎는 증상이 없더라도 검사를 통해 수면무호흡 지수를 파악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에요.


수면무호흡 증상이 보인다고 해서 모두 치료가 필요한 상태라고 하지는 않아요.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1시간에 10초 이상 호흡이 멎는 증상이 5회 이상 반복될 때,


7시간 동안 30회 이상 반복될 때 수면무호흡증이라 부릅니다.


정확한 검사 없이 한 두번 보인 증상으로 본인이 무호흡증이라고 스스로 진단 내리는 것도,


수면무호흡이 아니라고 진단 내리는 것도 조심해야 할 이유에요.





검사를 받지 않고도 수면무호흡증을 의심할 수 있다고 말하는 증상으로는


주간졸림증이나 집중력 저하, 우울감이나 짜증이 많아진다고도 말하는데요.


이런 증상은 초반에는 느낄 수 있지만


오랜 시간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이 지속되면 거의 느끼지 못하고 만성 피로로 치부하기 쉬워요.





가만 읽어보니 수면무호흡증이 잠 잘때 나도 모르게 숨을 멈추는 것 말고는 별 것도 없네...... 라는 생각이 드시죠?


그러나 그건 어디까지나 겉으로 드러나는 수면무호흡증 증상만 놓고 봤을 때 할 수 있는 이야기구요.


잠깐씩 숨이 멎는 동안 우리 몸은 호흡을 위해 어마어마한 일들을 하게 되요.


사람이 음식 없이는 몇 날을 견디고, 물이 없이는 몇 날을 견딘다고들 말하지만


산소 없이 몇 날을 견딘다는 말은 없잖아요.


그만큼 중요한 산고가 공급되지 않으면 뇌는 깨어나게 되요.


당장 신체 곳곳에 산소를 공급해야 하니까요.





일시적이지만 체내에 있는 산소공급을 위해 심장박동이 빨라지고 혈액 순환도 더욱 빠르게 됩니다.


혈액 순환이 빠르게 움직이면 혈관 압력이 높아지고 매 시간, 매일 밤, 몇 년씩 반복되지요.


수면무호흡증이 고혈압이나 심혈관계 질환 합병증을 유발한다는 이유가 여기에 있어요.


그뿐인가요.


스트레스 호르몬도 분비가 되구요 혈당에도 영향을 줘요.


수면무호흡증 자체로는 건강에 치명적이지 않지만 다른 질환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도 널리 알려진 사실이구요.



증상도 없고 당장 죽는 것도 아니니까 차일피일 미루는동안 조금씩 건강을 갉아먹는 수면무호흡증.


조금만 관심을 갖는다면 나도 모르는 사이 내 건강을 갉아먹는 질환을 막아낼 수 있습니다.




무료상담신청 (클릭)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